[ 신경북일보 ] 충주시가 초고령사회 진입에 맞춰 치매 예방과 조기관리, 환자 돌봄을 아우르는 통합지원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예방에서 진단, 치료, 가족 지원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실현해 치매 돌봄 사각지대 해소에 속도를 내고 있다.
26일 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충주시는 전체 인구의 23.8%가 65세 이상 노인으로, 추정 치매환자는 4,693명, 경도인지장애자는 1만 3,843명에 달한다.
경도인지장애자의 80% 이상이 6년 내 치매로 진행되는 만큼, 조기검진과 예방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2019년 보건소 내에 설치된 충주시 치매안심센터는 예방·진단·치료·돌봄 전 과정을 지원하는 지역 거점기관으로, 2021년에는 읍·면 어르신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엄정보건지소에 분소를 열었다.
올해 주요 사업으로는 ▲충주시약사회와 협력해 40개소를 지정한 ‘치매안심약국’ ▲동량면·지현동·봉방동의 ‘치매안심마을’ 운영 ▲시장·복지관 등을 직접 찾아가는 ‘원스톱 서비스’가 있다.
복지관·경로당에서는 인지활동·운동 프로그램을, 경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매환자 쉼터 ‘기억키움학교’에서는 인지·미술·음악치료 등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특히 치매환자와 보호자가 1:1로 참여하는 ‘산림·농림 치유 프로그램’은 어르신들의 사회적 고립감 해소와 심리 안정에 긍정적인 효과를 거뒀다.
지난해 기억키움학교 수료식에서는 한림고 디자인과 학생들이 어르신 활동사진을 액자로 제작해 선물하며 세대 간 따뜻한 교감을 나누기도 했다.
충주시는 치매 인식 개선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매년 9월 ‘치매극복주간’에는 걷기행사, 캠페인, 영화상영 등을 개최하고, ‘치매파트너’ 시민 봉사단을 양성해 홍보·안내·행사 운영에 참여시키고 있다. 지난해 1,700명, 올해 780명이 교육을 받았다.
조길형 충주시장은 “치매는 조기 발견과 예방이 가장 중요한 질환”이라며 “내년부터는 충주시 통합돌봄사업과 연계해 환자 전 주기에 걸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 돌봄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뉴스출처 : 충청북도충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