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7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부산시 강서구, 부산시 16개 구·군의 뜻 모아 부산 쌀 ‘황금예찬’ 학교급식에 담는다

김형찬 강서구청장 “쌀 넘어 지역 농산물까지 확대가 목표” 밝혀

 

[ 신경북일보 ] 부산 강서구는 지난 7월 24일 열린 부산광역시 구청장·군수협의회 월례회에서 ‘지역 농산물(쌀) 학교급식 현물 지원’ 안건이 원안 가결됐음을 밝혔다.

 

이 안건은 부산 지역 농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강서구가 제안하고 부산시 16개 구·군이 함께 뜻을 모아 추진하는 사업으로, 지역 특화 품종인 ‘황금예찬’ 쌀을 부산 지역 초·중·고등학교에 현물로 공급함으로써, 신선하고 안전한 지역 식재료를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동시에 지역 농가에는 안정적인 판로를 제공해 농가 소득 안정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황금예찬’은 부산시가 심혈을 기울여 개발한 품종으로 찹쌀과 멥쌀의 중간 정도 찰기와 높은 배아 잔존율로 영양가가 높으며, 부산 관내 초·중·고 시식평가에서 학부모 90.4%, 학생 83.2%의 급식 만족도를 얻었다.

 

부산시는 매년 약 2,4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무상급식을 전면 시행 중이지만, 지역 쌀 사용량은 전체 급식용 쌀의 8.4%(191톤)에 불과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급식용 쌀은 타 지역산(91.6%)이 차지하고 있어, 지역 농산물 소비 확대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강서구는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고자 2024년 하반기 예비비를 투입해 ‘지역 쌀 학교급식 공급방안 연구용역’을 실시했고, 이를 토대로 ▲농산물 유통의 선순환경제 구축 ▲지역 쌀 생산 기반 조성 ▲공공성 강화 등을 핵심 가치로 삼은 전략을 수립했다.

 

이에 따라 강서구는 지역 농업인들과 계약재배를 통해 2025년 가을에 약 600톤 규모의 황금예찬 쌀을 생산할 예정이며, 이 물량은 2026년도부터 부산 지역 학교급식에 현물로 공급할 목표를 두고 있다. 더 나아가 2027년부터는 부산시 전역 초·중·고 631개교에 연간 2,258톤의 지역 쌀을 단계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추진할 방침이다.

 

학교급식에 지역 쌀을 현물로 지원하는 방식은 학생 건강 증진은 물론, ▲지역 농가의 안정적 소득 기반 확보 ▲유통 거리 단축에 따른 탄소 감축 및 환경보호 ▲지역 주민 참여형 급식시스템 구축을 통한 공동체 연대 강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지속 가능한 농정·교육·복지 정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김형찬 강서구청장은 “이번 현물공급 사업은 단순한 식재료 공급을 넘어, 지역경제, 환경, 교육, 공동체 연대까지 아우르는 지속가능한 정책 모델로 자리잡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역 농산물의 공공급식 확대를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부산 강서구는 올해 8월부터 10월까지 시, 교육청, 구·군, 생산자 대표 등과의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현물지원 체계의 구체적 실행을 위한 본격적인 준비에 나설 예정이다.


[뉴스출처 : 부산시 강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