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경북일보 ] 대전 유성구가 앞으로 15년간 추진할 환경정책의 큰 그림을 마련했다.
유성구는 ▲자연생태·자연경관 ▲토양·지하수 ▲대기 및 미세먼지 ▲통합 물환경 ▲자원 순환 ▲소음·진동 ▲환경보건 ▲자연재해·도시방재 ▲기후변화 및 에너지 등 9대 분야에서 26개 과제를 추진하다고 22일 밝혔다.
2026년부터 2040년까지 적용되는 환경계획(안)은 ‘사람과 자연이 함께 숨 쉬는 지속 가능한 녹색과학도시’를 비전으로, 환경오염 및 훼손을 예방하고 주민이 건강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 모델을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가운데 자연생태 분야에서는 성북동 산림욕장과 방동저수지를 연결하는 ‘성북동 누리길’을 조성해 숲 치유 클러스터로 발전시키고, 사계절 꽃 도시 조성 사업을 통해 주민들이 사계절 내내 꽃과 숲을 즐길 수 있는 휴식 공간을 마련한다.
특히, 봄꽃 전시회와 오는 10월 열릴 국화 전시회는 규모와 내용을 확대해 한층 풍성하게 꾸려질 전망이다.
자원순환 분야에서는 축제를 중심으로 친환경 문화를 정착시킨다. 유성온천문화축제와 재즈&맥주페스타에서는 이미 푸드트럭과 음료 제공 부스까지 다회용 컵과 용기를 도입해 친환경 축제를 본격화하고 있다.
기후·에너지 분야에서는 에너지 비용 절감과 자립도를 높여 탄소중립 실현에 한 발 더 다가선다.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사업 공모에서 유성구가 대전 자치구 유일 최고 등급으로 선정, 국비 13억 원을 투입해 태양광·태양열·지열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 324개소를 설치할 계획이다.
유성구는 이달 초 환경계획 수립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를 개최해 주요 내용을 공유했다. 보고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검토 후 환경정책위원회 심의 등 절차를 거쳐 최종 환경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정용래 유성구청장은 “최종 보고회에서 나온 의견을 환경계획에 반영해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완성하겠다”라며 “주민이 일상에서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환경 정책을 실현해 지속 가능 도시로 만들겠다”라고 말했다.
[뉴스출처 : 대전시유성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