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경북일보 ] 경기도가 기후위기 시대 공공급식의 미래와 새로운 정책을 모색하기 위한 국제 콘퍼런스를 연다.
도는 오는 9월 3일과 4일 이틀간, 성남 판교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국제회의장에서 ‘2025 기후급식 콘퍼런스 in 경기’를 개최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기후위기 시대, 공공급식의 새로운 길을 묻다’를 주제로, 국내외 전문가와 정책 관계자, 시민사회 등이 참여해 기후급식 정책의 성과와 미래 방향을 논의한다.
‘기후급식’은 지역 농산물 활용, 저탄소 식단 구성, 음식물쓰레기 저감을 통해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공공급식 모델이다.
콘퍼런스는 기조 강연과 세션 발표, 토론으로 구성된다. 첫날에는 기조 강연과 함께 세션 1 ‘기후급식 정의와 국내외 추진 사례가 진행되며, 일본·인도네시아 등 해외 전문가와 유니세프(UNICEF)가 참여해 각국의 사례를 공유한다. 둘째 날에는 세션 2 ‘지속가능한 기후급식 체계로의 전환’(저탄소 식단, 지역 먹거리 순환 등)과 세션 3 ‘세상을 건강하게 바꾸는 기후급식’(공공급식 확대, 정책 제안)이 이어지고, 발표 후 토론으로 마무리된다.
행사장에서는 탄소발자국 비교 식단 전시, 저탄소 레시피 실습, 업사이클링 체험존(제로웨이스트 사례 등)이 운영되며, 학교급식 누리소통망(SNS) 자랑대회, 기후위기 OX 퀴즈대회, 누리소통망(SNS) 환경 챌린지 인증 이벤트 등 참여형 부대행사도 함께 열린다.
경기도는 지난해 ‘기후급식 페스타’를 처음 개최하며 정책 발굴과 확산을 이끌어왔으며, 올해는 콘퍼런스를 통해 국내 성과를 공유하는 동시에 해외 전문가와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이번 논의를 기반으로 중앙정부 및 국제사회와 연계한 공동 실천 모델을 확산한다는 계획이다.
박종민 경기도 농수산생명과학국장은 “이번 콘퍼런스는 단순한 학술 행사가 아니라 정책과 현장 실천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경기도 기후급식이 로컬에서 글로벌 기후정책으로 확산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말했다.
[뉴스출처 : 경기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