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경북일보 ] 부여군의회 민병희 의원은 제297회 부여군의회 정례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사람과 문화, 역사와 세대를 잇는 ‘에코뮤지엄(Ecomuseum)’ 기반의 도시재생 전략을 제안했다.
민 의원은 “부여 도심 곳곳의 골목과 상권이 침체되고 있지만 그 안에는 여전히 삶을 지켜가는 주민들이 있다”며, “이들의 일상과 기억을 중심으로 도심을 다시 살아나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 의원이 제안한 ‘에코뮤지엄’은 특정 건물을 전시관으로 삼는 형태가 아니라 마을 전체를 생활·문화·역사의 전시공간으로 바라보는 도시재생 모델로, 주민 참여를 통해 지역의 이야기와 공간을 보존·전시하는 방식이다.
특히 서울 이화동 마을박물관 사례를 언급하며 주민 주도의 참여체계 구축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민 의원은 빈 점포, 노후 상가, 유휴 공공시설 등 도심의 유휴공간을 마을박물관 네트워크로 연결해 백제 유산, 근현대 생활사, 시장과 골목 이야기 등을 주제로 한 전시 동선을 구축하고, 굿뜨래페이와 연계한 스탬프 패스 도입 등을 통해 지역경제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와 함께 ▲기획전·해설 프로그램을 통한 정림사지박물관의 기능 회복, ▲865점의 기증 작품을 기반으로 한 부여군립미술관의 단계적 추진, ▲지역 예술가 및 청년과 연계한 예술 실험 플랫폼 조성 등을 제시하며, “정림사지박물관 – 마을박물관 – 사비도심을 잇는 문화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민 의원은 “지금 부여가 필요한 것은 새로운 개발이 아니라, 흩어져 있는 유산과 세대를 잇는 일”이라며, “사람이 전시가 되고, 골목이 기록이 되는 ‘살아있는 박물관 도시 부여’로 거듭나기 위해 집행부와 동료 의원들의 적극적인 협력을 부탁드린다”고 발언을 마무리했다.
[뉴스출처 : 충청남도 부여군의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