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경북일보 ]
경기도농업기술원이 병해충과 이상기후로 인한 농작물 생육 스트레스를 사전에 예측하는 ‘농작물 생체정보 AI 기반 불량환경 조기 예측시스템’을 구축한다.
성제훈 농업기술원장은 4일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년도 디지털 기반 사회현안 해결 프로젝트’ 공모에 선정돼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작물의 유전자 분석을 통해 병해충·고온·가뭄 등 환경 스트레스를 정량화하고, 이를 토대로 조기 예측 정보를 제공한다. 기존 센서나 영상 기반 방식보다 민감도와 정확도가 높으며, 실제 생리 반응에 기반한 고신뢰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대상 작물은 벼와 콩이다. 벼는 외떡잎식물, 콩은 쌍떡잎식물을 대표해 식물 유형별 유전자 반응을 비교·분석하고, 향후 다양한 작목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현재 생육 기간 동안 주 3회 이상 RNA 샘플을 수집해 유전자 발현 패턴을 분석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주요 위험 요인을 조기 탐지할 수 있는 AI 알고리즘을 개발 중이다.
완성된 시스템은 웹 기반 플랫폼으로 제공돼 농가와 기술센터 등에서 예측 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농가는 방제 시기와 생육 관리 전략을 최적화하고, 불필요한 농약·비료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수집된 생체정보는 품종 개발, 기후 대응형 농업정책 수립 등 공공서비스에도 활용된다.
이번 사업에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총괄, 농촌진흥청과 경북대학교 등 4개 대학, 나무아이씨티 등 5개 민간기업이 참여하며, 올해 12월까지 개발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성제훈 원장은 “AI와 생명정보 분석을 결합한 지능형 농정 플랫폼이 농가 경영 안정과 경기도 농업의 디지털 전환을 앞당기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출처 : 경기도농업기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