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경북일보 ] 더불어민주당 조계원 의원(전남 여수시을)은 27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유승민 대한체육회장을 상대로, 최근 복싱대회 중 발생한 중학생 선수 중상 사고와 관련해 현장 의료 공백·사설구급 이송 지연·사고 축소 의혹을 지적하며 체육회 차원의 관리·감독 강화와 재발방지 대책을 촉구했다.
조계원 의원은 먼저 “1981년 대한민국 위대한 김득구 복싱 선수가 라스베이거스 복싱 14라운드에 쓰러져 사망한 후 복싱 제도에 닥터 스톱 제도가 생겨났다”며 “이후 복싱 경기에 의사들이 배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복싱 규칙들은 선수들의 피로 만들어졌다”며 질의의 포문을 열었다.
대한복싱협회는 이와 배치되게 경기 규칙을 의사 대신 간호사 등 의무진 구성이 가능하도록 변경한 바 있다.
지난 9월 3일 제주도에서 제55회 대통령배 전국시도복싱대회 중 중학생 선수가 뇌출혈로 쓰러졌다. 이후 수술에 들어갔지만 현재까지 의식불명인 상태다.
조계원 의원은 “당시 의사나 간호사라도 현장에 있었으면 응급 조치를 하고 골든 타임을 사수했을 텐데 사설 구급차에서조차 의료진이 없었다”라며 지적했다. 이어 제주특별자치도복싱협회가 제주특별자치도에 제출한 대회 계획서 상에 참가 인원을 1,500여 명으로 추산했음에도 안전 관리 계획서조차 제출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대한체육회가 제대로 조사했는지에 대해 질의했다.
또한 미성년자 선수에게 ‘사고나 부상에 대해 대회 주최인 대한복싱협회 및 지자체가 책임지지 않는다’는 각서에 서명한 부분에 대해 면책 각서 폐지를 요구했고, 유승민 대한체육회 회장은 “폐지해야 한다”라고 동의를 표했다.
이어 응급상황 당시 미흡한 조치에 대해 문제 지적을 했던 대한복싱협회 기술위원이 복싱협회 간부들에게 사건 축소 및 은폐 압박을 받은 부분에 대해 내부 고발자 보호책이 필요하다고 질타했다.
마지막으로 피해 선수 아버지가 해당 사건을 알리기 위해 자해 행위를 한 후 경찰 조사를 받고 있다는 부분에 대해 조 의원은 “선처를 받을 수 있도록 대한체육회가 나서서 해결해 줄 것”을 요구했다.
조계원 의원은 이날 피해선수 부모가 직접 작성하여 의원실에 전달한 '제55회 대통령배전국시도복싱대회 사고 관련 질의서'를 유승민 대한체육회 회장에게 전달했다.
[뉴스출처 : 조계원 의원]























